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신입개발자 쩨리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신입개발자 쩨리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181)
    • Programming (34)
      • C++ (18)
      • Java (6)
      • Android (3)
      • Kotlin (4)
      • Python (2)
      • Go (1)
    • Web (43)
      • HTML & CSS (3)
      • JavaScript & JQuery (23)
      • Spring (6)
      • JSP (10)
      • ASP (1)
    • Basic (17)
      • ComputerScience (15)
      • Command (2)
    • Algorithm (7)
      • 알고리즘 (1)
      • Level 0 (6)
      • Level 1 (0)
    • Tool (30)
      • Eclipse (1)
      • Git (9)
      • SVN (3)
      • Docker (2)
      • ETC (15)
    • Database (19)
      • SQL (1)
      • Oracle (2)
      • MySql (3)
    • BlockChain (23)
      • BlockChain (3)
      • Ethereum (14)
      • Solidity (6)
    • 쩨리일기 (7)
      • 오늘 공부한 내용 (1)
      • 일기 (2)
      • 기타 (4)
  • 방명록

반응형
합의 (1)
반응형
[Ethereum] 이더리움 실행 계층(EL)과 합의 계층(CL), 이더리움 클라이언트

이더리움의 머지(Merge)가 성공적으로 끝났다. 그럼 머지 후 달라지는 점은 무엇일까? 솔직히 일반인의 입장에서 보면 달라진게 없다. 그저 블록 데이터에 에포크와 슬롯이 추가되었을 뿐 육안으로 보기에는 이전과 달라진 것이 없다. 그럼 개발자의 입장에서 보면 어떨까? 가장 잘 알려진 차이점은 머지 전 기존의 블록체인은 합의 알고리즘을 PoW(작업증명, Proof-of-Work)을 사용한다면 현재는 PoS(지분증명, Proof-of-Stake)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블록체인의 블록을 검증하는 합의 방식을 완전히 바꿈으로써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개발 환경 또한 크게 달라짐을 알 수 있다. 가장 큰 변화는 이더리움 노드를 운영하는 방법이 달라졌다는 점이다. 이더리움 머지와 계층(Layer) 이더리움은 블록과 트..

BlockChain/Ethereum 2022. 9. 28. 15:11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