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aytn] PC에서 클레이튼 지갑 생성하기, 테스트 코인 받기
클레이튼(Klaytn)은 국내 블록체인 기업인 Ground X가 개발한 공개형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이더리움 기반의 블록체인으로 solidity와 같은 이더리움 언어로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이 가능하며 개발자들이 쉽게 BApp(블록체인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다양한 도구와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럼 이제 클레이튼을 본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클레이튼 지갑을 생성해보겠다.
클레이튼은 국내 IT 기업 카카오의 자회사인 그라운드 X가 개발했다. 따라서 카카오 플랫폼을 활용하여 다양한 클레이튼 지갑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 중 PC에서 클레이튼 지갑을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고, 테스트넷의 코인도 받아보도록 한다.
클레이튼 Wallet 페이지에서 클레이튼 지갑 생성
Klaytn Wallet
baobab.wallet.klaytn.foundation
① 회원가입이 필요없는 방법이다. 위에 링크를 클릭하여 메인 페이지를 접속한다.
맨 상단의 오른쪽을 보면 [Baobab Testnet]이라고 쓰여있는 셀렉트 박스가 있을 것이다. 클릭하면 메인넷과 테스트넷 2개를 선택할 수 있는데, 우리는 무료로 테스트 코인을 받을 수 있는 바오밥 테스트넷으로 진행할 것이다. 바오밥(Baobab)은 클레이튼 테스트넷의 이름이다. 제공받는 테스트 코인은 오로지 개발 용도로 쓰이며 재정적 가치가 없다.
그 다음 [Create Account] 버튼을 누른다.
② 생성할 지갑의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이 비밀번호는 추후 지갑을 확인하거나 로그인 할 때 쓰이므로 절대 잊어서는 안 된다. 비밀번호를 설정했으면 [Next Step] 버튼을 누르자.
③ 지갑이 생성되었다! 생성된 지갑의 개인키(private key)는 키스토어(Keystore)라는 파일이라는 지갑 관리 파일에 암호화된 내용으로 제공된다. 이 키스토어 파일과 비밀번호가 유출되면 지갑이 털리므로 꼭 안전하게 보관하자. [Download & Next Step]을 눌러 안전한 곳에 저장한다.
그러면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며 private key와 klaytn wallet key를 확인할 수 있다. 이 2개의 키를 복사하여 따로 보관해두자.
그 다음 [View Account Info]를 눌러서 생성된 지갑을 연결해보자.
④ 지갑 연결은 2가지 방법으로 나뉜다. 첫번째 [Sign-in Using Private Key] 방법은 방금전 복사해 두었던 키 2개 중 하나를 입력하자. 두번째 [Sign-in Using Keystore File] 방법은 방금전 다운로드 받았던 파일을 불러오고, 지갑의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⑤ 성공적으로 지갑 생성과 로그인을 수행했다. 이 페이지에서는 나의 지갑 주소(Address)를 확인할 수 있다.
이제 테스트 코인을 받아보자.
클레이튼 Wallet 페이지에서 테스트 코인 받기
① 왼쪽 메뉴바에서 [KLAY Faucet]을 클릭한다. 나의 지갑주소를 입력한 후 [Run Faucet]을 클릭하자. 테스트 코인은 24시간에 1번만 받을 수 있다.
② 다시 [View Account Info] 탭을 클릭하여 내 지갑을 확인해보면, 150 KLAY가 들어있을 것이다. 매우 빠른 시간안에 코인이 충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Klaytnscope.com
Klaytnscope allows you to find data by monitoring network health and statistics of Klaytn as well as profiling blocks and transactions on Klaytn.
baobab.klaytnscope.com
③ 클레이튼 테스트넷 탐색기 사이트에 들어가서 내 지갑주소를 검색해보면, 정상적으로 트랜잭션이 전송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